조계는 지방행정권을 외국인에게 위임한 외국인전용 주거지역을 이르며, 조계석은 이러한 지역의 경계를 표시해 놓은 일종의 푯말이다.
인천에는 1883년 일본전관조계를 시작으로, 1884년 화상지계·각국조계 등 3개의 조계가 설정되었는데, 그 중 이 각국 조계는 우리나라와 미국·영국·청국·일본·독일 대표 사이에 체결된 “인천제물포각국조계장정”에 따라 지정된 것이다.
|
2012.08.30 17:06
각국 조계석 (문화재자료 제4호)
조회 수 335628 추천 수 0 댓글 0
-
김취려 묘
-
이세주묘 출토 관 덮개 (문화재자료 제6호)
-
각국 조계석 (문화재자료 제4호)
-
어사대 (문화재자료 제3호)
-
욕은지 (문화재자료 제1호)
-
장도포대지 (문화재자료 제19호)
-
원인재 (문화재자료 제5호)
-
송현배수지 제수변실 (문화재자료 제23호)
-
인천해관문서 (문화재자료 제20호)
-
남북동 조병수 가옥 (문화재자료 제16호)
-
용동 큰우물 (시도민속자료 제2호)
-
월성박씨 종중묘역 (시도기념물 제62호)
-
평산신씨 종중묘역 (시도기념물 제61호)
-
의령남씨 종중묘역 (시도기념물 제60호)
-
박남박씨대종중 묘역 (시도기념물 제59호)
-
허암 정희령 유허지 (시도기념물 제58호)
-
김안정 묘 출토 묘비 (시도기념물 제57호)
-
학익 고인돌 (시도기념물 제4호)
-
건평돈대 (시도기념물 제38호)
-
한백륜 묘역 (시도기념물 제5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