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현육각은 조선시대 궁중무용과 행악, 지방관아의 연회, 높은 관리나 귀인의 행차, 향교의 제향 및 각 지방에서 신에게 제사 지낼 때 두루 쓰이던 악기편성을 뜻한다.
|
2012.08.30 13:19
삼현육각 (시도무형문화재 제1호)
조회 수 10328 추천 수 0 댓글 0
-
목조각장 (시도무형문화재 제22호)
-
휘모리잡가 (중요무형문화재 제20호)
-
서곶들노래 (시도무형문화제 제18호)
-
경기민요 12잡가 (시도무형문화재 제21호)
-
인천 근해 도서지방 상여소리 (시도무형문화재 제16호)
-
인천 수륙재 (시도무형문화재 제15호)
-
단청장 (시도무형문화재 제14호)
-
자수장 (시도무형문화재 제13호)
-
규방다례 (시도무형문화재 제11호)
-
범패와 작법무 - 나비춤 (시도무형문화재 제10-2호)
-
범패와 작법무 - 바라춤 (시도무형문화재 제10-1호)
-
여창가곡 (시도무형문화재 제7-2호)
-
남창가곡 (시도무형문화재 제7-1호)
-
대금장 (시도무형문화재 제6호)
-
주대소리 (시도무형문화재 제5호)
-
대금정악 (시도무형문화재 제4호)
-
인천 근해의 갯가노래, 뱃노래 (시도무형문화재 제3호)
-
단소장 (시도무형문화재 제2호)
-
삼현육각 (시도무형문화재 제1호)
-
심즙 신도비 (시도유형문화재 제3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