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중심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이 책은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마치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이며, 접었을 때의 크기는 세로 31.6㎝, 가로 12.3㎝이다. 검푸른 빛의 표지에는 금색으로 제목이 써 있고 끝에 ‘정(貞)’자가 있어 당나라 삼장반야(三臟般若)가 한문으로 번역한 정원본임을 알 수 있다.
|
2012.08.29 15:27
대방광불화엄경정원본 권 제31 (보물 1154호)
조회 수 126872 추천 수 0 댓글 0
-
강화 참성단 (강화 塹星壇)
-
화각장 (중요무형문화재 제109호)
-
황해도 평산 소놀음굿 (중요무형문화재 제90호)
-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 (중요무형문화재 제82-2호)
-
은율탈춤 (중요무형문화재 제61호)
-
궁시장 (중요무형문화재 제47호)
-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 (천연기념물 제508호)
-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 (천연기념물 제507호)
-
강화 참성단 소사나무 (천연기념물 제502호)
-
백령도 진촌리 감람암 포획현무암 분포지 (천연기념물 제393호)
-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 (천연기념물 제392호)
-
백령도 사곶 사빈 천연비행장 (천연기념물 제391호)
-
신도 노랑부리백로 및 괭이갈매기 번식지
-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북한지 (천연기념물 제66호)
-
신현동 회화나무 (천연기념물 제315호)
-
백령도 두무진 (명승 제8호)
-
인천 답동성당 (사적 제287호)
-
녹청자도요지 (사적 제211호)
-
대방광불화엄경정원본 권 제31 (보물 1154호)
-
신응경 (보물 제118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