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시장이란 활과 화살을 만드는 기능과 그 기능을 가진 사람을 말하는데, 활을 만드는 사람을 궁장(弓匠), 화살을 만드는 사람을 시장(矢匠)이라 한다.
고구려 활의 형태는 벽화속에서 볼 수 있는데 현재 사용하는 국궁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어 한국의 전통활은 이때부터 변함없이 이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시대에도 활쏘기를 중요시했으며, 조선 전기에는 과거시험의 무과과목에 궁술이 있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부터 조총이 수입되어 활은 전쟁용 무기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많이 변화하여 현재는 국궁인 각궁(角弓)이 보편화되었다.
제작도구로는 톱, 대패, 나무망치, 줄, 칼, 송곳, 나무집게, 나무빗, 쇠빗 등이 있으며 화살의 종류로는 목전, 철전, 예전, 세전, 유엽전 등이 있다. 싸리나무, 대나무, 철, 심줄, 새의 깃, 도피, 아교 등이 주재료이며 계절에 관계없이 계속 만들 수 있다. 다만 오른손잡이는 우궁깃을 왼손잡이는 좌궁깃을 달아야 한다.
|
2012.08.29 16:46
궁시장 (중요무형문화재 제47호)
조회 수 275719 추천 수 0 댓글 0
-
강화 참성단 (강화 塹星壇)
-
화각장 (중요무형문화재 제109호)
-
황해도 평산 소놀음굿 (중요무형문화재 제90호)
-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 (중요무형문화재 제82-2호)
-
은율탈춤 (중요무형문화재 제61호)
-
궁시장 (중요무형문화재 제47호)
-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 (천연기념물 제508호)
-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 (천연기념물 제507호)
-
강화 참성단 소사나무 (천연기념물 제502호)
-
백령도 진촌리 감람암 포획현무암 분포지 (천연기념물 제393호)
-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 (천연기념물 제392호)
-
백령도 사곶 사빈 천연비행장 (천연기념물 제391호)
-
신도 노랑부리백로 및 괭이갈매기 번식지
-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북한지 (천연기념물 제66호)
-
신현동 회화나무 (천연기념물 제315호)
-
백령도 두무진 (명승 제8호)
-
인천 답동성당 (사적 제287호)
-
녹청자도요지 (사적 제211호)
-
대방광불화엄경정원본 권 제31 (보물 1154호)
-
신응경 (보물 제1180호)